[화학 - 삼투압]
반투막을 사이에두고 한쪽에는 순수한 용매를, 다른 한쪽에는 용액을 넣어두면 용매입자는 반투막을 자유롭게 통과하지만, 용질입자는 반투막을 통과하지 못하므로, 용액쪽으로 용매가 이동하게 되어 액체 기둥이 높아지게 되며, 이 높이의 차만큼 압력을 가해주어야 하는데, 이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합니다.
이러한 삼투압은 용액에 녹아있는 용질의 입자수에 비례합니다.
따라서 비휘발성, 비전해질인 용질의 묽은 용액의 삼투압은 용질의 종류와 상관없이 용액의 몰농도와 절대온도에 비례합니다.
- 삼투압 ∝ 몰농도 X 절대온도
- π = CㆍRㆍT(R = 0.082 atmㆍL/molㆍk)
- π = n(용질의몰수) / (용액의부피)ㆍRㆍT
- πㆍV = nㆍRㆍT
- πㆍV = w(용질의질량) / M(분자량)ㆍRㆍT
'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상치환 (0) | 2008.06.09 |
---|---|
지구온난화-대책 (0) | 2008.06.09 |
상평형그림(상태도) (0) | 2008.06.09 |
용해도 (0) | 2008.06.09 |
이상 기체와 실제 기체 (0) | 2008.06.09 |